제가 퀴즈 하나를 낼게요. 토끼와 거북이 경주 알죠? 거북이가 이겼어요 졌어요? 이겼죠. 이 경기를 들으면서 항상 생각했어요. 거북이는 왜 토끼와 경기를 한다고 했을까? 누가 봐도 거북이는 토끼랑 상대가 안 되잖아요. 질 게 뻔한 경기에 거북이는 왜 참가했을까? 답은 강연이 끝나고 말씀 드릴게요.
제게 살면서 가장 힘들었던 건 상황도 아니고 환경도 아니었어요. 나도 모르게 왜곡된 열등감, 콤플렉스였어요. 우리집이 생선 가게였기 때문에 비린내 난다는 것이 나의 너무 큰 콤플렉스였어요. 애들이 킁킁 거리기만 해도 '나한테서 냄새 난다고 하면 어떡하지?' 벌벌 떠는 거에요. 그런데 그 킁킁거리는 습관이 지금까지도 남아 있어요. 음식 냄새 맡는 게 아니에요, 사실은. 그 친구는 나와는 상관 없이 냄새를 맡은 거고 의미 없이 '음 이게 무슨 냄새지?' 하는 건데 혼자 뜨끔하는 거에요. 그러다 친구들과도 싸우고. 늘 왜곡되고 굴국지게 보았던 것 같아요.
또 하나, 내게는 (힘든 점이) 있었어요. 우리 어머니는 철저히 남아선호사상주의자였어요. 나는 나중에 알았어요, 닭 뒷다리가 그렇게 맛있는 건 줄. 언제나 다리는 오빠 거. 닭 날개는 아버지 거. 내게는 목살을 주는 거에요. ( 아니야, 근데 되게 맛있어~ 목살이~~ 다리도 두 쪽 날개도 두 쪽이잖아? 목은 하나야~~~ 그래서 맛있어! ) 그래서 여러분, 모르실 수도 있겠지만 어머니 시대에는 아들을 못 낳으면 쫓겨났거든요. 그런 시대에 살았던 엄마였기 때문에 우리 엄마는 철저히 아빠 오빠만 너무 사랑했어요. 그래서 나는 그런 콤플렉스가 있어요. 누가 나를 좋아한다고 그러면 어색하고 민망해. 열등감이 있는 거에요. 나를 사랑한다구? 나를 좋아한다구? (특히 남자가 나를 좋아한다고 그러면, '어머 얘가 급전이 필요한가?') 의심이 가는 거야.
콤플렉스라는 게 굉장히 무섭거든요. 어려분은 군대에 왔으니까. 어차피 이 시간은 채워야 하잖아요. 그리고 이 시간은 가장 나에게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기도 하잖아요. 여러분이 군대에 있는 1년 8개월 동안 스스로에게 집중해서 물어보았으면 좋겠어요. 내 열등감이 무엇인지. 그걸 찾아내서 박살냈으면 좋겠어요. 그럼 세상에서 어떤 소리를 하더라도 그걸 잘못 해석해서 내가 스스로 망가지지 않아요. 컴플렉스는 나만 망가지는 게 아니라 내가 사랑하는 가족들도 망가뜨릴 수 있는 거거든요. 나는 늘, '내가 꼭 성공하리라. 그래서 닭 한마리를 다 먹는 날이 오면 나는 진정한 성공을 이룬 것이다.' 이런 게 있었어요. 큰 게 아니에요, 나의 원동력이라는 게. '닭 한 마리를 온전히 혼자서 다 먹는 날이 내가 성공하는 날이다.' 저는 그것 때문에 성공한 것도 있어요. 한 마리를 다 먹으려면 돈을 벌어야 했으니까.
열등감이 정말 무서운 게, 내가 알지 못하고 고치지 않으면 평생 세상에서 들려오는 모든 소리에 삐딱한 번역기로 작동 하더라구. 원래는 그런 소리가 아닌데, 오번역을 하는 거야.
토끼와 거북이 이야기 했잖아요? 그래서 토끼와 거북이는 왜 경주를 한다고 했을까? 제가 내린 결론은 그거였어요. 거북이는 열등감이 없었구나. 그냥 자기 길을 갔던 거구나. 열등감이 없으니까. 최선을 다 하는 것만이 내가 할 일이었고 거북이는 그러했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