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사람들은 좌절 혹은 무기력감에서 비롯된 분노를 자책으로 삭여 극단적 환상과 종종 버무리곤 한다. 걱정이 탄생하는 순간.
억울한 것 못 견디는 분 중 일부는
"엄마 난 그렇게 나쁜 아들 딸이 아니에요"라고 외쳐본 적이 있다. 이런 분들에게 있어,
1. 치료목표는 과도한 억울함을 적절한 억울함으로 희석시키는 것.
2. 상대가 제삼자인 경우: '상대방이 부모가 아니다'를 떠올림.
3. 상대가 부모인 경우: 가능한 한 마주치지 말고 정신적 부모를 따로 개설하는 것이 바람직.
별 이유 없이 무기력하고 우울해지는 내인성 우울증이 심리적 충격 이후 발생한 외인성 우울증보다 약에 대한 반응이 훨씬 좋다.
혈압, 당뇨도 실은 해당 기관 호르몬의 분비 이상에서 오듯 내인성 우울증 역시 뇌 호르몬의 분비 이상으로 오는 것이니,.
죄책감은 모순된 감정을 손쉽게 덮을 수 있으나
우울이란 대가를 지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거의 모든 결핍은
"엄마가 날 좋아하지 않는다" 에서 시작된다.
Disorder: 1. 엉망 2. 난동 3. 장애
some disorder makes another order
(일시적인 혼란은 더 큰 질서를 창조한다.)
개인적인 멘붕이나 사회적인 혼란 모두에 적용된다.
아프긴 아픈데 어딜 다쳤는지 몰라서 불안하고, 앞으로도 계속 다칠 것이란 절망이 우울을 초래한다.
강박적인 사람들이 유독 감정에 서툰 이유 중 하나는 각각의 감정에 논리적인 근거를 찾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감정에 이유 따윈 없다. 화나면 일단 화가 난다고 당당히 밝혀라. 이유는 나도 잘 모르겠다고 전달하면 되니깐.